우크라이나와 동맹국들, 30일 무조건 휴전 촉구
Allies Unite to Demand Ceasefire in Ukraine
A Historic Gathering in Kyiv
On May 10, 2025, Kyiv became the stage for a remarkable show of solidarity as the leaders of France, the United Kingdom, Germany, and Poland visited the Ukrainian capital together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outbreak of the full-scale war. Standing alongside Ukrainian President Volodymyr Zelenskyy, they issued a unified call for an unconditional 30-day ceasefire, set to begin Monday, May 12.
The initiative, discussed earlier with U.S. President Donald Trump via phone, gained his endorsement. The leaders warned that failure to comply would prompt sweeping new sanctions targeting Russia’s energy and banking sectors.
Terms of the Ceasefire and Conditions
The proposed ceasefire covers all combat operations across land, sea, air, and infrastructure. French President Emmanuel Macron emphasized that this truce is not merely symbolic but a strategic step toward opening credible peace negotiations. The U.S. is expected to take the lead in monitoring compliance, with support from European countries.
Ukrainian Foreign Minister Andrii Sybiha confirmed Kyiv’s full commitment to a complete cessation of hostilities and expressed appreciation for the coordinated leadership effort. He reiterated that making the war increasingly costly for Russia is critical to forcing a resolution.
Russia’s Continued Aggression
Despite a self-declared three-day pause in fighting, Russian attacks persisted. Drone and artillery strikes continued across the 1,000-mile front line, killing civilians in Sumy and Kherson. Ukraine accuses Russia of deliberately undermining ceasefire efforts by targeting non-military infrastructure.
The Kremlin has not accepted the proposed May 12 start date for the ceasefire and is instead pushing for talks to begin on May 15 in Istanbul, with no preconditions. This stance has been criticized by Western leaders as an attempt to delay real negotiations while continuing aggression.
Strategic and Symbolic Dimensions
European leaders underscored the historic significance of their presence in Kyiv on the 8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World War II. During a ceremony at Independence Square, they honored Ukraine’s fallen by lighting candles at a memorial. Macron hailed the moment as a turning point for European defense and strategic autonomy, stating, “It’s a new era—a Europe that sees itself as a power.”
The “coalition of the willing,” now comprising over 30 countries, also discussed long-term military support, including supplying advanced weaponry and investing in Ukraine’s defense sector. Deployment of international troops is under consideration as a reassurance mechanism, though NATO membership was notably absent from the discussions.
U.S. Role and Trump’s Position
President Trump’s special envoy, Lt. Gen. Keith Kellogg, called the proposed 30-day truce a vital first step to ending the largest European war since World War II. However, Trump remains skeptical of Putin’s willingness to end the war and previously suggested Ukraine might need to cede territory—remarks that continue to spark concern among European allies.
With no final agreement yet in place, the ceasefire remains a diplomatic inflection point. Global markets, security alliances, and geopolitical dynamics will all be shaped by Russia’s response in the coming days.
우크라이나와 동맹국들, 30일 무조건 휴전 촉구
키이우에서 드러난 역사적 연대
2025년 5월 10일, 프랑스, 영국, 독일, 폴란드의 정상들이 전쟁 이후 처음으로 키이우를 함께 방문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공동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이들은 오는 5월 12일부터 시작되는 30일간의 무조건 휴전을 러시아에 요구하며,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러시아 에너지 및 금융 부문에 대한 강력한 제재를 경고했습니다.
해당 제안은 당일 전화로 협의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지를 얻었으며, 이 제안은 3년 넘게 이어진 전면전을 외교적 협상으로 전환하기 위한 중대한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휴전 조건과 감시 체계
이번에 제안된 휴전은 육상, 해상, 공중은 물론 인프라 시설에 대한 모든 공격의 중단을 포함하며, 미국이 이를 주도적으로 감시하고 유럽 국가들이 지원할 계획입니다.
우크라이나의 안드리이 시비하 외무장관은 우크라이나는 “완전하고 무조건적인 휴전”에 전적으로 동의하며, 러시아가 전쟁을 계속하기 어려울 만큼의 비용을 치르게 하는 것이 평화로 가는 열쇠라고 밝혔습니다.
러시아의 지속된 공격
러시아는 3일간의 일방적 휴전을 선언했지만, 실제로는 드론과 포격을 지속해 우크라이나 북부 수미와 남부 헤르손 지역에서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이를 휴전 노력에 대한 노골적인 방해로 보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5월 12일이 아닌 15일부터 조건 없이 이스탄불에서 협상을 시작하자고 주장하며 제안을 거부했으며, 서방 정상들은 이를 시간 끌기로 비판하고 있습니다.
상징성과 전략적 의미
유럽 정상들은 제2차 세계대전 종전 80주년을 기념해 독립광장에서 열린 추모식에 참석해 우크라이나 전사자들을 위한 촛불을 밝혔습니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번 방문을 “유럽이 스스로를 강대국으로 인식하는 새로운 시대”의 서막이라며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현재 30개국 이상이 참여한 ‘자발적 연합(coalition of the willing)’은 우크라이나의 방위 산업에 대한 투자와 무기 지원 확대를 논의 중이며, 평화 유지 목적의 외국군 파병도 검토되고 있습니다. 다만, 나토(NATO) 가입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었습니다.
미국의 역할과 트럼프의 입장
미국 특사 키스 켈로그 퇴역 중장은 “육지, 바다, 하늘, 인프라 공격까지 포함된 포괄적 휴전”이 전쟁 종식을 향한 실질적 첫걸음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의 진정성을 의심하며, 평화 협상이 어렵다면 우크라이나가 일부 영토를 양보해야 한다는 과거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바 있습니다.
유럽은 우크라이나의 안보를 대륙 전체의 운명과 직결된 문제로 보고 있으며, 트럼프가 향후 지원을 철회하더라도 군사적 지원을 이어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