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콘, 1분기 순익 91% 급증…AI 서버 호황으로 예상을 상회
Foxconn's Q1 Profit Surges 91% on Booming AI Server Demand
Earnings far exceed expectations, but U.S.-China trade tensions remain a risk
Robust Performance Driven by AI Server Sales
Taiwan-based electronics manufacturing giant Foxconn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2317.TW) reported an impressive 91% year-over-year increase in net profit for the first quarter of 2025. This surge was primarily fueled by strong demand for servers used in artificial intelligence (AI) applications, leading to earnings that significantly outpaced market expectations.
According to Reuters on May 14, Foxconn posted a Q1 net income of TWD 42.12 billion (approximately USD 1.3 billion), up from TWD 22.01 billion in the same period last year. The result was well above analysts’ consensus estimate of TWD 37.8 billion.
The earnings report follows Foxconn's previous disclosure in April, where it revealed a 24.2% year-on-year increase in quarterly revenue—marking a record high for the company.
Key Clients: Apple and NVIDIA
Foxconn is best known for assembling Apple's iPhones and manufacturing high-performance servers for NVIDIA, the leading designer of AI semiconductors. As global demand for AI accelerates, driven by data centers, generative AI models, and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Foxconn is increasingly benefiting from its strategic positioning in the supply chains of key tech giants.
Caution Amid U.S.-China Trade Tensions
Despite the optimistic earnings and growth momentum, geopolitical risks remain a potential overhang. Foxconn conducts the majority of its iPhone assembly operations in China, making it vulnerable to escalating tens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ough both countries reached a temporary truce on May 12—agreeing to reduce tariffs over a 90-day period and pursue further negotiations—the situation remains fluid. Persistent uncertainty around tariffs and trade policy could impact Foxconn's future performance and manufacturing logistics.
Outlook and EV Expansion
In its previous earnings release, Foxconn forecast continued sales strength into the second quarter, though it also warned of potential disruptions stemming from global economic and geopolitical volatility.
Meanwhile, the company is expanding into the electric vehicle (EV) sector. Last week, Foxconn's EV subsidiary Foxtron Vehicle Technologies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with Japan's Mitsubishi Motors to supply EV models. The partnership underscores Foxconn’s ambitions to diversify beyond consumer electronics into new growth verticals such as automotive technology.
Please be advised that any investment decisions made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are solely the responsibility of the investor. The content shared on this blog is intended for referenc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financial advice.
폭스콘, 1분기 순익 91% 급증…AI 서버 호황으로 예상을 상회
미·중 무역 긴장 여전하지만 실적은 강세
AI 서버 수요 급증이 실적 견인
대만의 전자제품 위탁생산 대기업 폭스콘(홍하이정밀공업, 2317.TW)이 2025년 1분기 순이익이 전년 대비 91% 급증했다고 발표했다. 인공지능(AI)용 서버에 대한 글로벌 수요 급증이 실적을 이끌었으며, 이는 시장 전망치를 크게 뛰어넘는 결과였다.
로이터 통신은 5월 14일 보도에서 폭스콘이 올해 1분기에 4,212억 대만달러(약 1조 8천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이는 작년 동기 2,201억 대만달러보다 91% 증가한 수치로, 시장 예상치인 3,780억 대만달러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앞서 4월에 발표한 1분기 매출 역시 전년 대비 24.2% 증가하며 폭스콘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바 있다.
핵심 고객사: 애플과 엔비디아
폭스콘은 애플의 아이폰을 조립하는 주력 공급사이자, 엔비디아의 고성능 AI 서버를 생산하는 업체로 잘 알려져 있다. 최근 생성형 AI, 데이터 센터, 머신러닝 등의 확산으로 AI 관련 하드웨어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폭스콘은 주요 IT 기업들의 공급망 내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미중 무역 긴장은 여전히 불확실성 요인
이번 실적은 매우 긍정적이지만, 미중 간의 무역 긴장이 향후 실적의 불안 요소로 남아 있다. 폭스콘은 아이폰의 대부분을 중국에서 조립하고 있어 양국 간 관계 악화 시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5월 12일, 미국과 중국은 관세를 90일간 대폭 낮추는 데 합의하고 추가 협상을 이어가기로 하며 일시적인 ‘관세 휴전’에 돌입했지만, 근본적인 불확실성은 해소되지 않은 상태다. 이에 따라 향후 관세 정책 변화는 폭스콘의 공급망과 수익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2분기 전망 및 전기차 사업 확대
폭스콘은 지난달 실적 발표에서 2분기에도 견조한 매출 증가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지만, 동시에 지정학적 리스크와 세계 경제 여건 변화에 따라 충격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폭스콘은 전기차(EV) 사업 확대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일본 미쓰비시자동차와 폭스콘 자회사인 폭스트론 비클 테크놀로지(Foxtron Vehicle Technologies)는 지난 주 전기차 모델 공급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는 소비자 전자제품 중심이던 사업 구조를 자동차 기술 등 새로운 성장 산업으로 다변화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투자 판단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의 책임임을 알려드립니다. 본 블로그에서 제공하는 내용은 참고용일 뿐, 투자 조언으로 받아들이지 말아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