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o, Everyone. I`m beauk.
Today, we will think about the impact on the release of the employment report in June.
Fed Rate Cut Expectations Drop After Strong Jobs Report, S&P 500 Climbs
Unexpected Labor Market Strength Alters Fed Outlook
The June 2025 jobs report showed stronger-than-expected payroll growth, driven mainly by a surge in government hiring. Despite weak private-sector job gains, the unemployment rate unexpectedly fell to 4.1%, defying forecasts of an increase. This development sharply reduced market expectations for a Federal Reserve rate cut at the upcoming July 30 meeting.
Fed Rate-Cut Odds Plummet
Before the report, markets priced in a 25% chance of a rate cut in July. Afterward, that figure plunged to just 5%. The number of expected cuts for 2025 has also dropped, with only 50 basis points now seen as likely. The combination of lower unemployment and signs of a tighter labor market have left the Fed with less room to ease policy, especially amid concerns about inflationary pressures from tariffs and reduced immigration.
S&P 500 Reaction: Positive But Cautious
The S&P 500 gained 0.5% following the report, continuing its record-setting rally. Investor sentiment remains buoyed by strong corporate earnings and fiscal tailwinds from the One Big Beautiful Bill Act. However, the bond market showed caution, with the 10-year Treasury yield rising to 4.33% before settling back to 4.26%.
Inside the Jobs Report
June saw a net gain of 147,000 payroll jobs, but only 74,000 came from the private sector. Government jobs added 73,000, mostly in education, raising concerns about seasonal distortions. Wage growth slowed to 0.2% month-over-month, while the average workweek dipped slightly. Taken together, this suggests the labor market may not be as strong as the headline numbers suggest.
Economists Divided
Some economists, like Samuel Tombs, see signs of labor market slack and interpret the unemployment drop as noise. Others, like Comerica’s Eric Teal, argue that tighter immigration rules are shrinking the labor force, making it easier for unemployment to fall and wages to rise—potentially fueling inflation.
My Thoughts
From my perspective, this jobs report reflects a labor market at an inflection point. While headline numbers suggest resilience, underlying data show fragility. Investors should be cautious. Rate cuts may not materialize as expected, but growth sectors like AI and energy still offer long-term promise. The Fed remains data-dependent, and upcoming reports will be critical in shaping both policy and market direction.
Your thoughts would also be a great help in running the blog.
Please be advised that any investment decisions made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are solely the responsibility of the investor. The content shared on this blog is intended for referenc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financial advice.
안녕하세요. 여러분. beauk입니다
오늘은 6월 고용보고서 발표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6월 고용보고서 발표 후 금리인하 기대 급락, S&P 500 상승세 유지
예상보다 강한 고용, 연준의 스탠스 변화 이끌다
2025년 6월 미국 고용보고서는 예상치를 웃도는 고용 증가를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정부 부문에서의 고용 증가가 주를 이뤘으며, 민간 부문 고용은 예상보다 부진했습니다. 실업률은 오히려 4.1%로 하락하면서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를 약화시켰습니다.
연준 금리인하 가능성 급락
보고서 발표 전까지만 해도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이 25%로 예상됐으나, 이후 단 5%로 급락했습니다. 올해 전체적으로도 75bp 인하 기대가 50bp로 낮아졌으며, 실업률 하락과 노동시장 긴축 신호는 연준의 통화 완화 여지를 축소시키고 있습니다.
S&P 500은 상승 지속
고용보고서 발표 직후 S&P 500 지수는 0.5%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갔습니다. 기업 실적 호조와 ‘One Big Beautiful Bill Act’에 따른 재정 지원 기대감도 투자 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반면 10년물 국채 금리는 4.33%까지 상승했다가 4.26%로 조정됐습니다.
고용 세부 지표 : 민간 부문은 부진
전체 고용 증가 147,000명 중 민간 부문은 74,000명에 불과했으며, 정부 부문은 73,000명 늘었고 그중 63,500명은 교육 관련 직종이었습니다. 시급 상승률은 전월 대비 0.2%로 둔화됐으며, 주당 평균 근무시간은 34.2시간으로 소폭 감소해 노동시장 냉각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경제학자들의 시각 엇갈려
일부 경제학자는 실업률 하락이 통계적 착시일 수 있으며, 노동시장 내 수요 둔화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반면, 이민 억제로 인해 노동 공급 자체가 줄어들며 자연스럽게 실업률이 낮아졌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이 경우 임금 상승 압력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인플레이션 재부상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나의 생각
이번 고용보고서를 보면서 느낀 점은, 표면적인 숫자보다 내부 구성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실업률 하락만으로 경기 과열로 해석하기엔 민간 고용과 근로시간, 임금 둔화가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연준은 여전히 데이터 중심적 접근을 취할 것으로 보이며, 향후 발표될 물가와 고용 지표가 금리 정책 방향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합니다.
여러분의 생각도 알려주시면 블로그 운영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투자 판단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의 책임임을 알려드립니다. 본 블로그에서 제공하는 내용은 참고용일 뿐, 투자 조언으로 받아들이지 말아주시기 바랍니다.
'해외 증시에 대한 주요 이벤트와 가능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건 스탠리 분석: 달러 약세가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40) | 2025.07.06 |
---|---|
일론 머스크, '아메리칸 파티' 창당 발표, 미국 양당제에 도전 (26) | 2025.07.06 |
트럼프의 지출 정책 전환, 반도체, 에너지, 건설 산업에 미칠 영향 (94) | 2025.07.04 |
양자컴퓨팅 전망: 맥킨지·모건스탠리의 낙관적 시각 (85) | 2025.07.02 |
트럼프의 최혜국 약가 정책(Trump’s Most Favored Nation Drug Pricing Plan) (14) | 2025.07.01 |